본문 바로가기
복지와 혜택 모음

2024년 주휴수당 지급 조건과 기준, 시간, 계산 방법 (+주휴수당 계산기)

by 야무진 핑핑이 2024. 5. 3.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일용직 근로를 하게 될 경우 꼭 확인해야 하는 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휴수당의 지급 조건 및 기준, 시간에 따른 계산 방법, 그리고 주휴수당 계산기 링크도 첨부했으니 확인하시고 주휴수당을 놓치지 마세요!

 

주휴수당 지급 조건 및 기준, 시간, 계산 방법,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지급 조건, 기준, 시간, 계산 방법,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에 근거, 조건이 충족되면 지급해야 하는 수당입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을 보면 주휴일에 대해 설명되어 있습니다.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해야 한다.' 라는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듯, 주휴일은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 보장해야 하는 유급휴일을 뜻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주휴수당은 주휴일에 나오는 수당이며 5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적용되므로 대부분의 알바생들에게 적용됩니다.

 

 월급여를 받는 근로자의 경우, 월급 내에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적습니다. 그러나 주휴수당은 아르바이트를 하는 알바생들과 일 단위로 근무하는 일용직 근로자들과 관련해 지급 논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주휴수당의 지급 기준과 계산법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르바이트 주휴수당과 일용직 주휴수당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근로기준법 상 주휴수당 지급 조건

 주휴수당의 지급 조건은 총 세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① 1주일 동안 근로 시간 15시간 이상 되는 경우

 ② 1주일 동안 근로일에 개근한 경우

 ③ 1주일 동안 근로관계의 존속이 이어진 경우

 

 즉, 일하는 곳과 근로계약을 1주 이상 이어나가면서 협의/확정한 근로일에 빠지지 않고 출근했으며 1주일간 15시간 이상 일했을 경우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아르바이트 (알바) 주휴수당 지급 기준

 앞의 기준을 확인하다 보면, 본인의 근로 조건에 애매한 점이 있어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 게 맞는지 고민할 수 있습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시간, 개근 등 조건에 따라 사례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① 15시간 이상 기준

 - 1주 단위가 아닌, 근로 기간 동안의 평균 1주 단위 시간을 의미합니다.

 - 즉, 3주간 일한다고 하면 첫 주 14시간, 둘째 주 18시간, 둘째 주 13시간 일했을 경우 : 3주간의 평균 1주 단위 근로시간은 15시간이므로, 둘째 주만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3주 모두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② 개근 기준

 - 사업주와 1주일 동안 약속된 근로일 수를 모두 개근해야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지각 또는 조퇴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출근한 것으로 인정해 개근에 해당합니다.

 - 법정공휴일 또는 연차로 1주 내 하루 쉬는 것도 개근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 1주일 내내 연차를 사용, 하루도 출근을 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면 주휴수당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

③ 근로관계 1주 존속 기준

 -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1주일간 일하고 그만 둘 경우, 근로 존속 관계는 6일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1주일간 일하고 그만 둘 경우, 근로 존속 관계는 7일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다만 사업주가 근로 존속 관계 7일째로 이직 처리해줄 시, 퇴사일은 그 다음날이 되므로 1주 동안 근로 존속 관계를 만족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용직 주휴수당 지급 기준

 일용직은 사실 1일 단위로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근로자라 원칙적으로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계약 형태만 일용직이고 실질적으로 계속 근무를 지속하였다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① 1일 단위 일용 계약을 반복적으로 갱신한 경우로, 실제적 근무가 상용직 근로에 해당하는 경우

 ② 1일 단위 일용 계약이지만, 1주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근로계약을 체결한 경우

 

주휴수당 계산

 주휴수당은 1주일간 일한 시간이 40시간 이상인 경우와 미만인 경우에 따라 계산 방법이 다릅니다.

 

 ① 40시간 미만 일했을 경우 : (근로시간/5) x 시급

 ② 40시간 이상 일했을 경우: 8시간 x 시급

 

 예를 들어 시급이 10,000원이며 1주 평균 근로시간이 30시간이었다면,

 주휴수당은 (30/5) x 10,000원 = 60,000원으로 주휴수당은 6만원입니다.

 

 더 편하게 계산하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주휴수당 계산기로 계산해보세요!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계산기 링크 - 알바천국

 

 

 지금까지 2024년 주휴수당 지급 조건과 기준, 시간 및 계산 방법, 주휴수당 계산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