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평생 고용이 사라진 시대, 비대면 업무 및 플랫폼 경제 활성화에 따라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근로자의 형태 중 하나인 긱 워커(Gig Work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긱 워커의 뜻과 단어의 탄생 배경, 장단점과 국내 현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전에, 혹시 노동 시장에서 또 다른 핫한 키워드인 니트족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1. 긱 워커(Gig Worker)란?
긱 워커는 정규직 대신 고용하는 자의 필요에 따라 단기 계약을 맺고 일하는 노동자를 일컫는 말입니다. 업무 단위나 수수료가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 프로젝트나 일회성 일을 맡는 단기 임시 노동자를 뜻합니다. 여기서 단기는 며칠 단위, 짧게는 몇 시간일 수도 있습니다. 디지털 플랫폼의 발전,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업무가 익숙해짐과 동시에 공유경제가 확산되면서 등장한 새로운 노동자 유형인데, 플랫폼 노동자나 N잡러, 1인 기업 등으로 부르는 유형이 긱 워커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별히 분야를 가리지 않고, 어떤 기업이나 조직에 얽매이지 않은 채로 원하고 싶은 만큼 일하고 쉬고 싶을 때 쉬는 초단기 임시 노동자를 의미합니다.
2. 긱 워커 단어의 유래
영어단어인 긱(gig)은 1920년대 미국의 재즈 공연장을 다니며 일일 공연 등을 위해 단기로 섭외한 재즈 연주자를 부르는 단어로 쓰였다고 합니다. 이후 이 단어가 '이코노미(economy)', '워커(worker)'와 합쳐져서 단기 임시 경제 및 노동의 의미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3. 긱 워커의 국내 현황
경영 사상가인 찰스 핸디의 저서 '코끼리와 벼룩(2001년)'에 나오는 글귀와 같이, 사람들은 어느 시점에 도달하면 대기업의 고용 문화에서 벗어나 벼룩과 같이 혼자 힘으로 살아가는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고 합니다.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가 보편화되고 휴직자들이 늘어나면서, 우리나라의 긱 워커 수는 약 220만명 이상으로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MZ세대들이 약 55.2%를 차지할 정도로 정규직에 매달리기 보다는 긱 워커를 자청하는 성향이 더욱 뚜렷해진 것이 특징입니다.
국내에서 긱 워커들이 활동하는 분야는 어디일까요? 차량 공유 서비스의 운전자나 배민, 쿠팡이츠 등 배달 어플을 활용한 배달원, 배달 기사, 번역가, 웹 및 일러스트 디자이너, 스냅사진 작가 및 악기 레슨 등이 있습니다. 요즘에는 1인 자영업자들도 숨고나 크몽 등 재능 공유 및 서비스 의뢰 관련 어플에 등록하여 활발하게 경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4. 긱 워커의 장점과 단점
① 장점
오랜 시간동안 한국과 일본의 직장 문화를 대변해왔던 단어 중 하나인 '평생 직장' 개념이 보편화되어 있던 때에도, 긱 워커들은 원하는 기간동안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점과 직장 내의 인간관계와 조직 문화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점을 긱 워커의 큰 장점으로 꼽았습니다. 안정적이지만 활동에 제약이 많은 직장보다는, 자유의 소중함을 택한 것입니다.
전통적인 산업 경제 시스템이 거대한 시장과 대량 생산의 특징을 보였던 것과 달리 긱 이코노미는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특정 능력이나 기술이 적용되는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장점을 활용하여 긱 워커들은 개인화 기반의 디지털 경제 시장에 쉽게 진입할 수 있고, 노동의 유연성으로 인해 다양한 계층의 참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 예로 경력이 단절되었다고 느낄 수 있는 출산 여성 또는 직장을 은퇴한 사람들이 노동 시장에 비교적 쉽게 재진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존의 취업자들은 남는 시간을 활용해 추가 소득을 올릴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또한 특별한 교육을 받지 않더라도 쉽게 해낼 수 있는 일자리가 많아 취약계층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주어질 수 있습니다.
② 단점
긱 워커들은 정규직이 아니다 보니, 근로 기준법을 적용받아 최저임금 및 주 52시간, 퇴직금 등의 각종 법적 보호 및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플랫폼 종사자들은 저임금, 과로, 사고나 재해 등에 대한 보호 대책이 부족하고, 플랫폼 기업을 대상으로 한 수수료 및 계약 조건을 협상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2021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긱 워커 중 고용보험 가입자 비율은 29.1%, 산재보험 가입 비율은 30.1% 밖에 되지 않습니다.
육체 및 정신적 노동으로 소득을 얻지만, 각종 수당과 퇴직금, 휴가 등 혜택에서 제외될 수 있는데, 이 역시 사회적 쟁점이 될 수 있는 이슈입니다. 이렇다 보니 독일이나 미국 등 여러 선진국에서는 별도의 노동법 적용 및 대책 발표를 통해 긱 워커들을 노동자로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정부가 긱 워커들을 보호하기 위해 논의 과정에 착수하여 자문 기구인 '노무 제공자 권리보장 제도화 포럼'을 출범시키기도 했습니다.
이상, 긱 워커의 뜻과 유래, 국내 현황 및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이슈와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시세 4만달러 아래로 마감, 이후 반감기와 전망은? (3) | 2024.01.23 |
---|---|
소비 유도 상술 다크 패턴의 뜻과 유형, 사례 알아보기 (3) | 2023.12.28 |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 - 나스닥 종합지수 뜻과 특징, etf, 구성종목 알아보기 (1) | 2023.12.08 |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 -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란? 뜻과 의미, 한계점, 소속 기업(종목) 알아보기 (3) | 2023.12.06 |
2024 트렌드 호모 프롬프트 - 뜻, 발전 방향, 할루시네이션, 전망 및 시사점 알아보기 (1) | 2023.11.22 |